python 6

[ADsP]

ADsP 자격증을 취득하기 위한 공부 ADsP는 데이터 분석 준전문가 자격증이다. 공부의 진행방식은 어렵다는 제3과목 먼저 진행하고 그다음 제1,2과목을 순차적으로 진행할 것이다. 시험은 가장 유명한 민트책으로 진행을 하고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은 유튜브와 사전의 도움을 받아 진행을 할 것이다. ADsP는 R을 이용해서 시험문제가 출제된다. 데이터 분석 프래그래밍 언어는 Python과 R이 많이 사용된다. Python vs R 의 차이점 R은 통계 분석에 최적화되어있어 파이썬보다 더욱 자세하고 명료하게 분석 결과를 제공해준다. R은 수행속도 측면에서 파이썬에 비해 느리다. (빅데이터 분석에 치명적인 단점) Python은 AI 알고리즘을 구현하는 환경에 적합함 3과목 EDA (탐색적 자료분석) 데이터 특성 ..

python 2022.05.01

[기초 1-3] 함수(function)

1. Call by value vs Call by reference 값에 의한 호출(call by value) 값에 의한 전달(pass by value) 는 동일한 개념이다 함수를 호출할 때, 값이 복사가 되고 호출한 곳에 영향을 끼치지 않는다. 숫자 객체는 변경될 수 없는 immutable object이다. def change(num): num = num + 10 print("change()내의 num 값:", num) print("change()내의 num 주소(id):", id(num)) return num n = 100 #id()는 매개변수 값으로 객체를 받아서 그 객체의 고유한 주소값을 반환해주는 함수이다. print("호출 전 n의 주소(id):", id(n)) print("호출 전 n의 값"..

python 2022.03.27

[Jupyter Notebook] Pandas (1. Series/Dataframe/Index)

Pandas 파이썬에서 사용하는 데이터 분석 라이브러리 행과 열로 이루어진 2차원 데이터(엑셀..) 을 쉽게 다룰 수 있음 1. Series 1차원 데이터(정수, 실수, 문자열 등) Series 객체 생성 예) 1월부터 4월까지 평균 온도 데이터(-20, -10, 10, 20) temp = pd.Series([-20, -10, 10, 20]) print(temp) #result 0 -20 1 -10 2 10 3 20 dtype: int64 Series 객체 생성(Index 지정) temp = pd.Series([-20, -10, 10, 20], index = ['jan', 'feb', 'mar', 'apr']) print(temp) #result jan -20 feb -10 mar 10 apr 20 dt..

python 2022.03.20

[Jupyter Notebook] Jupyter Notebook 준비

Jupyter Notebook의 장점 셀 단위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어 바로 데이터 확인 및 데이터 시각화가 가능하다. Markdown을 사용하여 문서화(부연설명과 정리)가 편리하다. 웹 기반 어플리케이션으로 코드를 확인하고 함께 작성하는 것이 가능하여 코드 공유가 편리하다. 주피터 노트북 설치 방법 아나콘다 설치 아나콘다없이 터미널로 주피터 설치 > pip install jupyter Jupyter Notebook 라이브러리 numpy : 숫자 연산 Numerical Python의 약어로 파이썬을 활용해 빠르고 정확한 숫자 연산이 가능하다. Pandas : 데이터 분석 (numpy를 기반으로 만들어짐) Python data analysis의 약어로 파이썬의 데이터를 처리해주는 역할을 한다. 엑셀과 ..

python 2022.03.13

[기초 1-2] 함수(function)

매개변수(parameter)와 인수(arguments)의 차이점 매개 변수(parameter)는 이 값을 전달받는 변수이다. def set_sum(start, end) 인수(argument)는 호출 프로그램에 의하여 함수에 실제로 전달되는 값이다. value = get_sum(1,10) #1,10 매개변수에 복사되는 값 : call by value 함수가 호출될 때마다 인수는 달라질 수 있다. *매개변수와 인수의 수는 일치해야 한다. 매개변수가 2개라면 인수의 값도 두개여야 한다. call by value / call by reference 의 차이 Call by value(값에 의한 호출) 인자로 받은 값을 복사하여 처리를 한다. 장점 : 값을 복사하여 처리하기 때문에 원래 값이 영향을 받지 않는다. ..

python 2022.03.13